01.
|
매년 700만 명 이상이 대기오염으로 인해 조기 사망합니다. 그 중 아태지역의 비중은 매년 400만 명 이상입니다. |
 |
02.
|
기후위기의 징후는 이미 세계 곳곳에서 해마다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습니다. 뜨겁고 건조한 날씨에 따른 가뭄으로 인한 산불, 폭염, 예측할 수 없는 기록적 폭우와 홍수 등이 선진국과 후진국을 가리지 않고 일어나고 있습니다. |
 |
03.
|
지구온난화를 섭씨 1.5도로 제한하려면 2050년까지 온실 가스 배출량을 순배출 제로(net zero)로 줄이겠다는 목표를 세워야 합니다. |
 |
04.
|
현재까지 80개국이 2050 순배출 제로 달성 목표에 합의했습니다. |
 |
05.
|
2020년 11월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COP26에서 각국은 2050 순배출 제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강도 높은 국가별 온실가스 감축목표(NDC)를 제출해야 합니다. |
 |
06.
|
녹색성장은 가능합니다. 경제성장은 대기오염과 온실가스 배출에서 분리될 수 있습니다. 녹색 경제에서 얻은 녹색 일자리는 화석 연료 분야의 일자리 손실보다 많습니다. |
 |
07.
|
재생 에너지, 에너지 효율성, 지속가능한 운송, 폐기물 자원관리, 재조림과 같은 자연 기반 해법, 기후-스마트 농업은 매력적인 투자 대상입니다. |
 |
08.
|
직·간접적인 화석연료 보조금을 없애고, 국제적으로 화석연료 기반 에너지산업에 대한 재정지원을 중단하며, 국내외적으로 녹색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조치가 필요합니다. |
 |
09.
|
이미 1,000개가 넘는 주요 민간 기업이 2050 순배출 제로 목표에 맞추어 행동에 나서며 ‘위 민 비즈니스 기후동맹’ (We Mean Business Coalition)에 가입했습니다. |
 |
10.
|
정부 지원과 녹색기후기금(Green Climate Fund)과 같은 국제 기후재원은 개발도상국에서의 행동을 촉진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. 하지만 녹색 전환을 위해서는 이러한 수십억 달러의 기후재원에 더하여 더 많은 민간과 기관 투자가의 자본을 활용해야 합니다. |
 |